생활정보

무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도파민메이커 2024. 3. 15. 15:28

우리나라 대표 김치라고 하면

다들 배추김치를 떠올리실겁니다.

 

그런데 배추김치만큼이나 대중적인 김치가 있죠.

 

바로 무김치입니다.

총각무김치, 깍두기, 동치미 등 김치 종류 뿐만 아니라

무조림, 무국 등 다양한 반찬으로 조리되어

우리 식탁에 오르는 무!

무는 맛있기만 할 뿐만 아니라 영양소도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야말로 팔방미인 식재료인 무

 

무에 대한 간단한 TMI와 무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속 무

경복궁 출처 pixabay

고려시대 이규보의 저서 동국이상국집에는

"무장아찌는 여름철 먹기 좋고 소금에 절인 순무는 겨우내 반찬"

이라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즉, 고려시대부터 무는 우리네 식탁에 올라 선조들의 사랑을 받는 식재료였습니다.

 

무 재배 시기

무의 재배는 사시사철 가능합니다. 

(사실 선진 농법, 비닐하우스가 발달된 요즘 연중 재배 불가능한 것이 거의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지만 그중 제일은 가을부터 나는 무라고 합니다.

이 때 생산되는 무들이 다른 계절보다 더욱 아삭하고 무 특유의 단맛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주로 가을철에 무를 수확하여 보관하다 겨울철에 꺼내어 먹습니다.

 

무 보관법

무는 흙이 묻은 채로 신문지에 싼 뒤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진 곳에 저장하는 것을 권합니다.

(영상 5도 정도의 기온에 저장 권장)

 

보통 무는 토막을 내서 먹을 부분만 손질하게 되는데

손질하고 남은 부분은 흙이 묻은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의 효능

무에는 소화효소인 아밀라아제가 들어있습니다.

그야말로 천연소화제라고 할 수 있는데요.

 

뿐만 아니라 칼륨, 칼슘 등 무기질이 풍부하며 비타민 C도 섭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의 생리활성물질은 항산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있죠.

 

저칼로리 식이섬유 함유 식품

다이어트를 하는 분들은 만성적인 변비에 시달리기 쉬운데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장 운동이 활발해져 도움을 얻을 수 있으며,

포만감이 들도록 해 과식을 방지할 수 있는데요.

 

무는 100g당 13kcal의 낮은 열량을 낼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도 풍부합니다.

 

 

무 잘 고르는법

무를 고를 때는 잎이 푸르고 단단한 것을 골라야 합니다.

또 잔뿌리가 많은 것보단 적은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뿌리 쪽이 통통하고 잎이 파란 것을 고르시면 됩니다.